티스토리 뷰
연봉 4700만 원을 받고 있습니다. 동년배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 많은 연봉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만족하며 살아가고 있는데요. 연봉 4700만 원 받는 사람의 실제 연봉 수령액을 공개하겠습니다.
2025년 기준 연봉 4700만원 실수령액
저는 3,316,340원을 받고 있습니다. 회사 별로 조금 차이가 날 수도 있겠지만 가장 최근에 수령한 월급이 330만 원이었습니다.
회사에 적을 두고 다니는 만큼 회사의 연봉 명세서를 상세히 공개할 수는 없지만 항목과 금액을 말씀드리겠습니다.
먼저 월 기본급 2,913,110원, 기타 수당이 1,0003,560원 입니다.
합치면 390만 원이니까 4700만 원 나누기 12 하면 딱 맞습니다.
하지만 세금을 내야겠죠?
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17,980원 공제, 고용보험료 37,050원 공제, 국민연금 176,220원 공제, 건강보험료 138,840원 공제, 기타 공제가 200,000 원 발생했고 소득세가 209,310원, 지방소득세가 20,930원 발생했습니다.
이렇게 계산해서 정확하게 3,316,340원 을 받고 있습니다.
딱 330만 원입니다.
연봉 5,000만 원이 곧인데 생각보다 금액이 크지는 않죠?
월급 받는 직장인이 내는 월세금의 종류는?
앞서 말씀드린 세금 관련해서 많은 항목이 있는데 어떤 세금을 내는지 일목 요연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.
- 국민연금: 노후 대비를 위한 연금으로, 근로자가 일정 금액을 부담합니다.
- 건강보험료: 의료비 지원을 위한 보험료로, 근로자가 일정 금액을 부담합니다.
- 노인장기요양보험료: 노인 장기 요양 서비스를 위한 보험료로, 건강보험료의 일정 비율로 부과됩니다.
- 고용보험료: 실업 시 지원을 위한 보험료로, 근로자가 일정 금액을 부담합니다.
- 소득세: 근로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으로, 소득 구간에 따라 세율이 적용됩니다.
- 지방소득세: 소득세의 일정 비율로 부과되는 지방자치단체 세금입니다.
이렇게 세금의 종류가 많고 원래 월급 390만 원에서 실수령액은 330만 원이니 월평균 60만 원 정도는 세금으로 낸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
390/60만 원 하면 월급에서 약 15.3%를 나라에서 세금으로 떼어간다고 보시면 되겠네요.
결론
이상으로 연봉 4700만 원 받는 직장인의 실수령액과 세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'생활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헌법재판소 주변 cctv 확인하는 방법 안내 - 탄핵재판 1시간전 (1) | 2025.04.04 |
---|---|
카카오 비상금 대출 후기 - 월급이 떨어져서 카드값 메꾼 실제 후기 인증샷 첨부.jpg (0) | 2024.03.30 |
BMW THE2 실물 후기 - 와 진짜 예쁘다 (0) | 2024.03.04 |
케이스티파이 핸드폰 케이스 사려고 애플 페이 설치한 후기 - LG 헬로비전 M Edition2 카드는 국내 결제용 (0) | 2023.05.06 |
ENTP 남자 ISFJ 여자 궁합과 실생활 연애 팁 (0) | 2023.04.19 |